티스토리 뷰
들어가며
향수는 다양한 향조(노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그중에서도 ‘플로럴 부케’ 계열은 가장 전통적이면서도 보편적인 인기를 자랑하는 향조 중 하나이다. ’플로럴 부케’는 단일 꽃향이 아닌, 여러 가지 꽃의 향을 조합하여 풍성하고 다채로운 꽃다발을 연상시키는 향이다. 플로럴 계열이 한 송이의 꽃이라면, 플로럴부케는 꽃다발이라고 이해하면 쉽다.
1. 플로럴부케 계열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
플로럴부케 향조는 20세기 초반, 향수 산업이 본격적으로 대중화되면서 개발되기 시작했다. 단일 플로럴의 향조만으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풍성함과 입체감을 구현하고자 했고, 여러 종류의 꽃 향을 조화롭게 블렌딩하면서 ’플로럴부케‘라는 새로운 장르가 태어났다. 이는 자연 속의 꽃다발, 혹은 여성스러움의 정수를 담은 예술적 향기가 되었다.
플로럴부케는 주로 우아함, 로맨틱함, 부드러움, 청순함 등의 이미지를 연상시키며, 여성 향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열 중 하나다. 그러나 최근에는 젠더리스 트렌드에 따라 남성용 향수나 중성향에도 종종 활용된다.
2. 플로럴부케 향조의 주요 특징
- 다양한 꽃 향의 복합적 조화 : 장미, 자스민, 일랑일랑, 프리지아, 릴리, 라일락 등 여러 꽃의 향이 함께 어우러진다.
- 밸런스와 하모니 중심 : 어떤 꽃 향인지가 뚜렷하게 나타나면 안된다. 마치 여러 종류의 꽃으로 만들어진 꽃다발을 한아름 받았을 때처럼, 여러 꽃의 향이 밸런스와 하모니를 이루며 나타나야 한다. 따라서 단일 꽃향보다 더 섬세하고 정교한 조향 기술이 필요하다.
3. 플로럴부케 향수의 필수적 향조
플로럴부케 계열의 향수를 구성할 때 특히 미들노트에서 2가지 이상의 꽃을 표현해야 한다. 이 때 꽃은 기조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조향을 할 때에도 비교적 많은 비율의 프래그런스 오일이 들어가야 한다. 플로럴부케에서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꽃은 다음과 같다.
① 장미(Rose)
• 도도하고 우아하며, 스파이시하면서도 파우더리함이 공존.
• 풍성한 부케의 중심을 잡아주며, 전체적인 향에 로맨틱한 감성을 부여.
② 자스민(Jasmine)
• 관능적이고 리치한 향조로, 플로럴부케의 관능미를 강화.
• 밤에 피는 꽃답게 깊이 있는 무드를 형성.
③ 일랑일랑(Ylang-Ylang)
• 관능미가 아주 진한 꽃으로, 달콤하고 크리미한 향조.
• 꽃다발에 이국적이고 센슈얼한 느낌을 추가.
④ 백합(Lily, Lily of the Valley)
• 깨끗하고 청초한 이미지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
• 여러 꽃 향이 섞였을 때 이를 조화롭게 풀어주는 조화제 역할을 함.
• 물에 탄 듯한, 수채화스러운 느낌을 주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음.
⑤ 라일락(Lilac)
• 부드럽고 파우더리한 향조.
• 봄의 느낌과 경쾌한 느낌을 줄 수 있음.
⑥ 프리지아(Freesia)
• 달콤하면서도 산뜻한 향으로, 전체 향의 경쾌함과 상쾌함을 더해줌.
• 젊고 밝은 느낌을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됨.
4. 향의 구성 구조와 변주
플로럴부케 향수도 일반적인 탑-미들-라스트 노트 구조를 따르지만, 그 중심은 역시 미들노트에 있다. 탑과 라스트가 잘 열어주고, 받쳐줘야 미들이 돋보일 수 있다.
- 탑노트 : 베르가못, 시트러스 등으로 산뜻한 인상을 전달
- 미들 노트 : 어코드를 고려한 다양한 꽃 향
- 베이스 노트 : 머스크, 샌달우드를 사용하여 미들이 돋보일 수 있도록 하고, 잔향을 부드럽게 마무리.
조금 변주를 하자면, 알데하이드 노트, 그린 노트, 프루티 노트를 추가할 수 있다. 플로럴부케는 다소 클래식할 수 있으나 이런 변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잘 만들어 진 음식에 트러플 오일 한 스푼, 바질 이파리 하나, 훈제 파프리카 가루 톡톡 올린 것처럼 독특하고 재미있는 향이 될 수 있다.
5. 플로럴 부케 계열의 대표적 향수
디올 쟈도르 : 자스민 + 일랑일랑 + 장미의 조화가 돋보이는 클래식한 플로럴부케
샤넬 가브리엘 : 자스민 + 일랑일랑 + 오렌지블라썸 + 튜베로즈의 조화
구찌 블룸 : 자스민 + 튜베로즈 + 라군다 크리퍼의 조화
마치며
플로럴부케 계열 향수는 단순한 꽃향을 넘어, 감정과 분위기를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예술적인 향조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꽃이 어우러져 조화롭게 피어나는 향기는 마치 꽃다발을 선물받는 듯한 기분을 선사한다. 조향에 있어서도 높은 기술력과 섬세한 밸런스 감각이 요구되며, 이런 복합성과 미묘함이 플로럴부케 향수의 매력이 될 수 있다.
'Perfum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조에 따른 향수의 종류 : 1. 싱글플로럴 계열 향수의 특징과 필수적인 향조 (0) | 2025.03.27 |
---|---|
AI 조향사 시대: 기계가 인간의 감성을 이해할 수 있을까? (0) | 2025.03.22 |
영화관에서 향수를 뿌릴 수 있을까? 후각을 활용한 극장 경험의 진화 (0) | 2025.03.20 |
미디어와 향기의 융합: 후각적 마케팅의 미래 (0) | 2025.03.16 |
디지털 향수: VR과 AR에서 후각 구현 가능성 (2) | 2025.03.11 |
실버 산업에서 향기의 활용 방안 3 : 고령자 대상 향기 테라피 체험 프로그램 기획 (0) | 2025.03.10 |
실버 산업에서 향기의 활용 방안2: 향기로 떠올리는 소중한 기억(회상 요법, Reminiscence Therapy) (0) | 2025.03.10 |
실버 산업에서 향기의 활용 방안 1: 노인 우울증 완화를 위한 향기 요법 (0) | 2025.03.09 |